너머의 생생정보/생활정보

신혼여행 비용, 왜 항상 예산을 초과하는가?

2mhan 2025. 4. 29. 00:42
728x90
반응형

 

신혼여행 비용은 언제나 계획보다 많이 든다.
이건 개인의 문제라기보단 구조적인 문제다.
우리는 왜 항상 '예산 초과'를 겪는 걸까?

신혼여행의 심리적 구조

신혼여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다.
"결혼이라는 거대한 소비 이벤트의 피날레"다.
이 말은 즉, 이미 수백, 수천만 원을 써버린 상태에서 출발한다는 뜻이다.
결혼식장, 예물, 신혼집 계약금... 정신없이 돈을 쏟아붓고 나면, 금전 감각이 마비된다.

이 심리적 마비는 신혼여행 경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.
'어차피 다 큰돈인데 이 정도는 괜찮겠지'라는 무감각.
1인당 5천 원짜리 밥값도 고민하던 사람이,
하룻밤 리조트 숙박에 100만 원을 쓰며 아무렇지 않아진다.

비용 초과를 부르는 유혹

  • 업그레이드 함정
    항공권, 호텔, 렌터카, 액티비티. 어디서든 '조금만 더'하면 훨씬 좋아진다는 유혹이 던져진다.
  • 기념품/쇼핑 폭발
    '기념이니까'라는 이유로 평소보다 훨씬 비싼 물건을 구매하게 된다.
  • 비상상황
    여행 중 예상치 못한 상황(예: 항공편 연착, 짐 분실, 병원 방문 등)에는 돈이 추가로 든다. 신혼여행은 긴장의 연속이기 때문에, 안전을 돈으로 사게 된다.

어떻게 막을 것인가?

  • 사전 예약 90% 이상 완료
    숙박, 교통, 주요 투어는 모두 예약하고 출발한다. 현지 결제는 최대한 줄인다.
  • '기념품 예산' 따로 설정
    전체 여행비의 10% 이내로 기념품 구매 한도를 정한다.
  • 업그레이드 거부 규칙
    여행 중에는 '업그레이드' 제안이 들어와도 무조건 거절한다는 내부 합의를 해둔다.

결론

신혼여행 비용 초과는 '현지에서 뭔가 특별한 게 있을까?'라는 막연한 기대심이 만드는 구조적 문제다.
철저한 사전 계획과 감정 절제 없이는, 누구라도 빠질 수밖에 없는 함정이다.
'특별한 순간'은 돈으로 살 수 없다는 기본 원칙을 잊지 말아야 한다.

320x100
반응형